성경난해구절

[스크랩] 70. 지나치게 의인이 되지 말라?

춘천 김상호 2008. 8. 30. 08:26

70. 지나치게 의인이 되지 말라?

 

“지나치게 의인이 되지 말며 지나치게 지혜자도 되지 말라 어찌하여 스스로 패망케 하겠느냐 지나치게 악인이 되지 말며 우매자도 되지 말라 어찌하여 기한 전에 죽으려느냐 너는 이것을 잡으며 저것을 놓지 마는 것이 좋으니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는 이 모든 일에서 벗어날 것임이니라”(전7:16~18).

 

 “지나치게 의인이 되지 말라”니? 그럼 신앙생활도 적당히 하라는 말인가? 이것은 마치 바로가 출애굽 하려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향해 “너무 멀리는 가지 말라”(출8:28)고 한 것과 비슷하지 않은가? 분명히 바로의 경우는 이스라엘 백성들을 애굽의 권세아래 붙잡아 두기 위한 것인데, 이 구절은 지혜자 솔로몬이 한 말이 아닌가? 이게 도대체 무슨 뜻인가? “지나치게 의인이 되지 말고 지나치게 악인이 되지 말라? 니, 그럼 소위 중용을 지켜 의와 악을 모두 적당히 하라는 말인가? 중용의 도 (中庸之道)가 유교에서는 의미 있는지 몰라도 절대자와의 절대적인 가치를 추구하는 기독교의(義) 사상과는 전혀 조화되지 않는다.

 

 우리는 이 구절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 먼저, 성경 적인 의의개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성경이 말하는 의의 공식은 한 마다로 “하나님은 의, 인간은 죄”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떠난 의와 의인은 존재할 수가 없다. 의인이란 곧 “하나님을 믿고 그와 동행하는 자”이다. 그러므로 하나님을 섬기는 전도자가 말한 “지나치게 의인이 되지 말라”는 말이 결코 “지나치게 하나님을 믿지 말라”는 말이 될 수는 없다. 전도자는 오히려 “하나님을 경외하는 자는 이 모든 일(즉, 16절과 17절에서 말하는 ”지나친 의“와 ”지나친 악“이 파생시키는 문제)에서 벗어날 것임이니라”(전7:18)고 하였다.

 

 그러므로 16절이 말하는 “지나친 의인”은 “전적으로 하나님을 섬기는 자”가 아니라, 다른 의미의 의인이다. 그것을 성명해 주는 것이 이어지는 구절이다. 이 구절을 다시 한번 배열하면 다음고과 같다.

a 지나치게 의인이 되지 말며

a¹ 지나치게 지혜자도 되지 말라

b 어찌하여 스스로 패망하겠느냐

 

 여기서 앞의 두 구절 즉, a 문장과 a¹문장은 소위 히브리 문학의 특징 중의 하나인 동의어적 대구법(synonymous parallelism)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구법은 서로의 개념을 보완하고 설명해 주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지혜자가 되지 말라”는 히브리어로 동사 알-티트하캄(ם󰔰󰕘󰚚󰚝-ל󰔦)은 “지혜롭다”는 동사 하캄(ם󰔨󰕘)의 재귀형인 히트파엘(Hithpael)형에 부정사 알(ל󰔦)을 붙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 문장을 직역하면 “스스로 지혜 있지 말라”는 것이다. 이는 “스스로 지혜롭게 여기지 말라”(잠3:7)는 솔로몬의 다른 권고나, “스스로 지혜롭게 여기지 말라”(롬12:16)는 바울의 권면과 같은 요지의 말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병행 구절에 의해 우리는 앞의 “지나치게 의인되지 말라”는 구절의 의미도 스스로 의인인체 하지 말라“는 뜻임을 파악하게 된다. 다시 말해 이 구절은 ”전심으로 하나님을 섬기는 일을 자체하라“는 말이 아니라 ”스스로 종교적인 체하여 자신을 거룩하게 여기지 말라“는 것이다. 즉, 일종의 바리새적 신앙 형태에 대한 경고인 것이다.

 

 그래서 풀릿(Pulpit)주석은 이 구절을 “의식적이고 의례적인 종교에 대한 지나치게 세심한 관찰, 모든 현재의 일들을 소홀히 하는 잘못된 경건, 자기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다른 사람을 혹독히 정죄하는 바리새적인 정신을 경고하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또한 이스튼 화이브레이(Easton Whybeay)도 이 구절을 “자신의 의를 자랑하려 드는 자들에 대한 역설적 경고”라고 하였고, 재림교회 성경주석도 “외적인 형식과 표현에 의존하고 있는 율법주의에 대한 견책(SDABC, 4:1089)이라고 하였다.

 

 결론적으로 이 구절은 하나님을 의지함으로 얻는 풍성한 의와 지혜를 책망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자기에게 의와 지혜가 많다고 생각하고 있는 인간의 착각과 오만에 대해 책망하고 있는 것이다. 왜냐하면 언제나 인간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는 자기 스스로를 어떻게 평가하느냐에 따라 발생되기 때문이다.

출처 : 행복충전소♥대명
글쓴이 : DMpastor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