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속죄론 속죄론 Ⅰ. Anselm(11세기 스콜라 신학의 아버지)이전의 속죄론 1. 이레네우스(Irenaeus of Lyon. 115- )의 속죄론 총괄갱신설 (Racapitulation Theology)을 주장하였다. 아담이 범죄 하므로 온 인류가 초대된 저주에 임했다. 그러나 둘째 아담인 그리스도가 순종하므로 온 인류가 총괄적으로 갱신되게 되었다. 아담 이.. 신학일반 2009.08.17
[스크랩] 종교 개혁기의 인간론 종교 개혁기의 인간론 1. 칼빈 (Calvin 1509-1564)의 인간론 ◉ 칼빈의 신앙 5조(條) : TULIP T : Total deprarity = 인간의 전적 타락 U : Unconditional pradestination = 무조건 예정 L : Limited elecion salvation = 제한 선택 구원 I : irresistable grace = 불가항적 은총 P : Perseverance of sainte = 성도의 견인 ⑴ 원죄란? ① 원시적 義의 .. 신학일반 2009.08.17
[스크랩] 인간론 인간론 인간론이 잘못되면 나머지 모든 교리가 잘 못된다, 신학을 가르는 중요한 관건이 되기 때문이다. 인간론의 문제들은 기독교의 실제적인 문제들로서 속죄 문제, 기독교의 분파 문제에까지 직접적인 연관을 가져왔던 것이다. 동방교회에서는 종교회의에서 기독론 논쟁이 끝났는데도 계속 기독.. 신학일반 2009.08.17
[스크랩] 기독론 기독론 기독론은 신론의 입장에서 접근할 수도 있고, 구원론의 입장에서 접근할 수도 있다. 구원론적 접근의 중요성은 그리스도의 직책, 승귀의 신분, 비하의 신분 때문에 중요하다. 초대교회는 대체로 기독론을 성부와 성자의 관계가 어떻게 되느냐 하는 신론의 입장에서 접근했고. 종교개혁기에 와.. 신학일반 2009.08.17
[스크랩] 중세 스콜라주의의 삼위일체론 중세 스콜라주의의 삼위일체론 1. 로셀린(Roscelin)의 삼위일체관 로셀린은 삼위일체에 유명론(唯名論)을 적용시켜 하나님 안에 있는 위들의 구별 과 그 수적 통일을 결합하는 어려운 형편을 피하려 했다. 그는 신격 안에 있는 삼위를 본질적으로 서로 다른 세 개체로 보고 이것을 총칭적으로나 이름으로.. 신학일반 2009.08.17
[스크랩] 교리의 발생 교리의 발생 Ⅰ. 속사도 교부들의 교리 1. 속사도 교부들 (1) 바르나바스(Barnabas), (2) 헤르마스(Hermas), (3) 로마의 클레멘트(Clement) (4) 폴리카푸스(Poycarpus 69-155) (5) 파피어스(Papias -150) (6)이그나티우스(Ignatius) 2.. 속사도 교부들의 저서 (1) 바나바 : 바나바서 - 히브리서와 비슷한 내용의 책이다 (2) 헤르마스 :.. 신학일반 2009.08.17
[스크랩] 삼위일체론 삼위일체론 삼위일체가 바로 서지 않으면 기독교의 모든 교리는 파괴된다. 삼위일체를 부정하게 되면 기독교의 나머지 교리는 다 무너지게 된다. 삼위일체는 기독교의 핵심이기 때문에 기독교 교리사의 논쟁 맨 처음에 등장한다. 삼위일체는 시기적으로 맨 처음 가장 먼저 확립된 것이다. 삼위일체 .. 신학일반 2009.0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