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개혁기의 인간론
|
|
|
|
|
|
|
|
|
|
|
|
|
|
|
|
무조건 예정 |
예지(豫知) 예정 |
|
|
|
|
|
|
|
|
|
1분설 (물질) |
막스. 엥겔스 |
2분설 (영혼과 육신) |
플라토, 데칼트, 칼빈, 개혁교회. |
3분설(영과 혼과 육) |
이레뉴스, 오리겐, 루터, 에라스무스, |
- 하나님의 형상관
- 하나님의 모양관
- 터툴리안, 이레뉴스
- 인간의 육체적 특성(자연적)
- 인간의 영적 특성(초자연적)
- 클레멘트, 오리겐(알렉산)
- 인간다운 특성
- 비본질적 특성, 잃어버린 특질
- 아우구스티누스
- 영혼의 지적 특성
- 영혼의 도덕적 특성
- 소키니아주의
- 인간이 하등 피조물을 다스리는 지배력
- 재세례파
- 중생시에 얻어지는 축복
- 펠라기안, 알미니안
- 이성적 성격, 자유 의지, 윤리적-종교적 성향
- 루터
- 원시적 의(義)
- 스콜라학자,캐토릭학자
- 이성의 지성적 능력과 자유
- 원시적 의(타락시 상실)
- 로마 카토릭교회 교리
- 영혼의영성,의지자유,육체의 불멸성(자연은사)
- 원시적 의(열등성질 제어할수 있음(초자연 은사)
- 칼빈, 개혁교회
- 모든 피조물보다 월등한 요소들:
- 인간의 영성,원시 의,지배력,육신,도덕적 이성적 요소,불멸적 영적 요소등 다 포함
- 브룬너
- 내용적으론 상실했으나 형식적으론 소유함(구원의 접촉점)
- ◉ 원죄에 대한 견해 비교 도표
- 주 장 자
- 주 장 내 용
- 테르툴리아누스
- 유전적인 죄의 경향과 부패이다
- 암브로스
- 내적으로 타고난 부패와 인간의 죄책(상태)이다
- 펠라기우스
- 원죄를 부인하며, 다만 시조를 인격적으로 모방하는 것이다
- 아우구스티누스
- 아담의 죄가 육체적,도덕적 전적인 부패를 주었다,부패,죄책을 다 포함한다,인간은 정죄하에서 났다.
- 반(半)펠라기우스
- 아담 타락에 연루는 됐으나, 전적부패는 아니며,자유의지 상실도 되지 않았다
- 토마스 아퀴나스
- 질료적으로는 욕정이요,형상적으론 원시적 의의 결핍이다
- 칼빈
- 원죄는 전인류의 저주인 아담의 죄(불순종)와 타락이다.전적 부패이다.
- 소키니안
- 원죄 부인
- 아르미니안
- 반펠라기우스의 주장과 같다
- 개혁교회
- 대체로 아우구스티누스 주장과 같다
- 부룬너
- 원죄의 전가설 부인, 죄는 상태가 아니라 행동,
- 틸리히
- 원죄를 신화로 보았다.
- ◉ 과 제 ◉
- 1. 동방 교부들의 인간론들을 약술하라
- 2. 서방 교부들의 인간론들을 쓰라
- 3. 펠라기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인간론의 비교표를 만들라
- 4. 중세기의 인간론을 약술하라
- 5. 칼빈과 아르미니안주의의 인간론을 비교하라
- 6. 현대
주장자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출처 : 창골산 봉서방
글쓴이 : 봉서방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