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학일반

[스크랩] 비정통신학

춘천 김상호 2009. 8. 17. 06:55

비정통신학

 
 
  비정통이란?
  정통의 반대되는 것들의 총칭이며 성경에 가감하는 이단과 사교를 말한다.
 
 
  Ⅰ. 이설(異說).
.
  이설(           )이란?
  "다른 의견"으로 상이한 설명을 뜻한다. 성경에 "다른 교훈"이란 말이 있다(딤전1:-6:3). 이 "다른 교훈"이라는 것에 대하여,
  비징거(Wiesinger)는 "경건한 교훈에서 떠나는 것"이라고 하였다.
  오토(Otto)는 "다른 선생을 추종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다른(       )"이란?
  `다른 종류`를 말한다.  
  즉, `사실에 동의하지 않고 반대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다른 교훈을 따르는 자"라고 하는 것은 복음을 반대하는 이설, 사이비 종교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진리에서 이탈된 교훈, 성경에서 어긋나는 가르침이란 뜻이다.
 
      1. 고대교회에 있어서는 교회에서 합의된 결정은 정통이라고 하고, 일치된 교리를 반대하고 다
          른 의견을 가질 때 이를 이설이라고 정죄하였다.
      2. 제 2세기 익나디누스는 "감독의 교훈에서 이탈하는 자를 이설자"라고 규정하였다. 그래서
         이런 이설자의 유혹에 빠지지 말라고 경고한다.
 
 
  Ⅱ. 이단(       ).
 
    1. 이단의 정의.   
 
   이 말은 본래 "선택"이란 의미를 가졌으나 후대에 와서 "의견 전체"를 총괄하는 뜻으로 사용하였으나 나중에는 어떤 종파를 의미하는 용어가 되었다.
 
      1) 이단의 변천
 
        (A) 신약시대의 이단
  
           바울은
            ① 이를 죄악으로 정죄하였고(갈5:20)
            ② 교회분쟁자로 낙인찍었으며(고전11:19).
            ③ 분규적 파벌로 멸시하였다(딛3:10).
            ④ 그리고 이런 이단자들은 복음과 진리와 정통을 추종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의 의
                견을 사사로이 선택한 자요, 변질된 신앙과 행위의 소유자라고 저주하였다.
                  다시 말하면, 이런 자들은 도(     )를 배반한 자요, 죄를 지은 자들이니 자기가 자기
               를 정죄하였다고 선포하였다.
 
  베드로후서 2장 1절에 "거짓 선지자들과 거짓 스승들이 이단을 살포하니 이는 주를 배반하고 배
  신하는 행위로 멸망을 재촉할 뿐이라"고 하였다.  
 
        (B) 속사도 시대
             성경을 가감하는 자들을 모두 이단자라고 규정하였다.
 
        (C) 제 3세기에 이단자는 출교를 당했다.
 
        (D) 니케야 회의에서 삼위일체 교리가 정통과 이단 구별의 표준이 된다는 결정을 하였다.  
 
 
      2) 이단 규정
 
 ① 역사적 기독교의 보편적 진리를 거부하거나 왜곡시키는 무리나 단체.    
 ② 성경의 명백 자명한 가르침을 부정하는 무리나 단체.
 ③ 성경의 기본적 교리를 부정하거나 잘못 해석하는 무리나 단체.
 ④ 성경의 내용 이상을 추가하거나 성경의 내용을 감하는 무리나 단체를 이단이라 한다.
     그러나 이단 규정은 무지나 곡해를 무조건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그릇된 주장에 대하여 거듭
      경고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끝내 돌이키지 않는자(딛3:10)"에 대하여 내리는 교회의 공적 결
      정이다.
 
 
    2. 이단의 특성.
 
      1) 이단은 처음 주장과 그 끝이 다르다.
          이단의 뜻이 `끝이 다르다`는 것과 이단은 사람을 미혹하기 위하여 표면에 그럴듯한 주장을
          내세우는바 이러한 주장과 그 결과에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2) 성경의 절대권을 부인한다.
          성경은 믿음과 행위에 있어서 정확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임에도 이를 인정치 않고 교조(혹
          은 교주)의 책이나 주장을 통하여 성경을 재해석한다.
 
      3) 교조(교주)를 절대화, 혹은 신격화시킨다.
          몬타누스(Montanus, 주후 3세기)가 자신을 은혜와 성령의 도관(導管)이라 주장한 것처럼          이단은 거의 교조를 카리스마화 한다.
 
      4) 은혜교리를 부정한다.
          사죄의 유일한 길은 하나님께서 독생자를 통하여 베푸시는 은혜뿐임을 역사적 교회는 믿거
          니와 이단은 인간의 노력과 공로가 구원을 가져온다고 주장한다.
 
      5) 삼위일체론을 부정한다.
          이단들은 그리스도의 신격을 격하시킬 뿐 아니라 성령의 인격을 부정한다.
 
      6) 간음을 내밀하게 교리화 시킨다.
          성경에 이단을 호색하는 무리(벧후2:2), 음녀(계17:5, 15)로 표현되었으며, 이단의 은밀한          베일속에는 영체 교환, 생명의 이환, 체례 등으로 표현되는 음행이 깃들어 있다.
 
      7)배타적인 구원론을 갖고 있다.
        우리는 하나님의 절대주권 하에서 오직 믿음만이 구원의 유일한 방편임을 믿는다. 그러나 이
        단들은 신자들을 미혹하는 방편의 하나로 역사적 교회를 떠나 그들에게 와야 구원이 있다고
        주장한다.
 
      8)시한부 종말론을 고조한다.
        주님의 재림으로 이루어지는 종말은 성도의 최대의 소망이다. 그러나 그 날과 그 시를 아무
        도 모른다(마24:36). 그런데 이단들은 거듭되는 재림예언 부도에도 불구하고 종말의 비밀을
        알고 있는 것처럼 역설한다.        
 
  ◎ 이설과 이단은 결국 이설이 이단이 될 수 있고, 이단이 이설로 나타나는 것을 본다.
  이설은 근본적 교리는 유지하고 비중요교리에 대해서만 파괴하는 것을 말한다
 
  이단은 교리의 근본원리까지를 붕괴한다. 그러므로 이설자는 용납되지만, 이단자는 용서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설과 이단의 구별과 격리는 용이하지 않다.
 
*. 본 내용은 신학교수인 장관섭 목사님에게 저작권 이있으므로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
출처 : 창골산 봉서방
글쓴이 : 봉서방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