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모 음
©학습목표©
-모음의 종류를 안다
-모음변화와 형태론과의 관계
반드시 알아야할 내용
1.모음의 분류
분류 |
제1군 a(아) |
제2군 e(에),i(이) |
제3군 o(오),u(우) |
|
장모음 |
순장모음(qames) ; (a) h ; |
y e y I 장모음 히렉(hireq) I (i) |
/ 슈렉(sureq) W (u) 킵부츠(qibbus) u (u) |
|
어조 장모음 카메츠(qanes) ; (a) !q; rb;D; |
어조 장모음 체레(sere) e (e) |
어조 장모음 홀렘(holem) o (o) |
| |
단모음 |
, 파타흐(pathah) -' (a) - i |
세골(seghol) , (e) 히렉(hireq) I (I) |
카메츠 하툽(q.hatuph) ; (o) |
|
단순셰와 |
] (e) |
](e) |
](e) |
|
복합셰와 |
}(a)하텝파타흐 > |
>(e)하텝세골 } |
?(o)하텝카메츠 } > |
|
1)단모음
(1)제 1군
'
, 단모음a의 음운변화에 의하여 생긴다. 관사의 단모음 a가 단모음e로 변환되는 경우가 있다.
i 단모음 a가 얇아진 경우, 동사 Qal 형 미완료나 ni완료, hi의 완료나 미완료의 고대형 a 모임이 i로 사용되는데서 그 용례를 알 수 있다.
(2)제2군
,
i
(3)제3군
; 강세 없는 폐음절에서 o로 발음된다. (음절 분리 셰와가 뒤에 올 때, 경강점에 의해 형성된 폐음절일 때, 마켑에 의해 강세를 상실한 음절, 강세 없는 마지막 폐음절에서)
u
2)장모음
(1)순장 모음-액센트 영향을 받지 않는다.
(2)어조 장모음-액센트나 모음 보상 법칙에 의하여 길어진 모음
3)이중 모음:대부분이 장모음으로 변이(모음 축합 현상이 발생)
4)매우 짧은 모음(불명 모음)-유성셰와
2.모음화:자음으로만 구성되어 있는데 그중에 셋은 모음으로도 사용(모음 문자,홀소리 자음,앞 모음과 이중 모음 형성>장모음)
1) h :장a,단e,장o
2) y :장i,장e
3) w :장u,장o
4) y w h-음절 첫 소리-반드시 자음
5) y w-음절 가운데,끝-항상 모음
6) h-마지막 음절 끝-모음,자음으로도 쓰임
7) /=w+a (aw>au>순장o)
W= w+u (uw>순장u)
y e=y+a (ay>ai>순장e)
y i= y+i (iy>순장i)
8)철자법
(1)단어 끝 장모 e i o u는 순장 모음-읽기 모로 표기(ymq,wmq)
(2)그외의 위치
a)순장 모음- 읽기 모 사용(bk;/K)
b)어조 장모음-읽기 모가 없음(rq,Bo)
c)순장 모음이 읽기모로 표기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r/fyqi-r/fqi,rfoqi)
(3)모음으로 사용된 문자 앞에 자음으로 쓰인 동일한 문자가 위치할 때(보통은 위치하지 않음)---모음 부호만 기재
t/x]mi(계명들, hw;x]mi의 복수형) t/wx]mi 보다 나은 방식
(4)두개의 연속된 각 음절들에 모음 문자가 사용되는 것을 피하는 경향이 있다.
myriyvi-!yrivi(노래들), WhWlf;q]-Whluf;q]( 그들이 그를 죽였다)
(5)모음 문자가 있을 때-완전 서법 (qyhe품에서처럼)
모음 문자가 없을 때-불완전 서법 (qhe)
(6)모음들이 완전하게 표기되는 경우-마소라 방점은 그 문자 앞의 자음 앞에(lyij-lyji)
그러나 /과W는 예외(l/j)
(7)모음 문자 바로 앞의 모음이 그것과 동질의 홀소리를 나타내지 않을 때-모음 문자는 자음 음가를 갖음
yd'y;(yadhay 나의 손들), wn;[;(anaw온유한), yWlG;(galuy드러난)
3.맛소라 모음부호
1)맛소라 문법 학자들이 대중들이 히브리어를 정확히 읽도록 선과 점으로 모음 부호를 고안하였다.
2)대략 A. D. 6-7세기로 추측한다.(제롬이나 탈무드에도 이 부호의 흔적이 없기 때문)
3)맛소라 모음 부호는 선과 점으로 이루어져 있다.
4.모음 변화
1)어조 장모음이 원래 모음이나 동족 단모음이 되는 경우
(1)폐음절이 강세를 상실할 때 dy; → hw;hw]-dy'
(2)강세가진 폐음절이 접미어를 취하면서 강세를 상실할 경우 byeao → *b]yiao
(3)폐음절이 강세에서 멀어질 때-특히 강세가 앞으로 이동하는 경우 !qoy; → !q;y;w' &leye → &l,Yew'
(4)어미를 취하여 강세에서 멀어질 때 rp,se → yrip]si
(5)마지막 자음에 경강점이 찍혀 음절이 될 때 !ae →yMiai
2)단모음이 그에 상응하는 장모음이 될 때
(1)액센트 영향에 의하여
(2)후음이나 r에 의해 보상될 때
(3)휴지형의 영향으로
(4)장음화 규칙
-' → -;;
-i → -e
-u → -o o
3)셰와로 변화
(1)개음절이 액센트 영향으로 짧아질 때
(2)셰와 규칙-두개의 유성셰와가 병치할 때는 첫 유성셰와는 완전 모음화가 된다.
-] -] → -] -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변화지 않는 모음
(1)순장모음
(2)폐음절의 단모음(마지막 음절이 아닌 경우)
(3)경강점 앞에 있는 단모음(폐음절)
(4)후음과 r에서 모음 보상에 의하여 길어진 경우(개음절의 상태에 있을 때)
5.셰와
1)셰와의 종류
(1)무성 셰와
(2)유성 셰와
a)단순 유성 셰와-강자음 아래에서
b)복합 유성 셰와-후음 아래에서(후음의 발음을 정확히 하기 위해서)
}하텝-파다
>하텝-세골
?하텝-카메츠
2)셰와의 규칙
(1)무성 셰와
a)음절이 끝나는 자음의 밑에만 위치하며(음절 분리기)
b)발음이 안됨
(2)유성 셰와
a)음절이 시작하는 자음 아래서 발생하며,
b)반모음으로 거의 들리지 않을 정도의 e발음
c)두 유성 셰와가 병치할 때-앞에 있는 유성 셰와가 완전 모음화된다.(발음을 쉽게 하기 위해)
-] -] → -] -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히브리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히브리어 문자 그래픽1 (0) | 2009.07.31 |
---|---|
[스크랩] 히브리어기초학습 (0) | 2009.07.31 |
[스크랩] 히브리어 알파벳-쓰기와 읽기와 듣기와 명칭들 (0) | 2009.06.01 |
[스크랩] 히브리어 기초공부하기 (0) | 2008.11.17 |
[스크랩] 히브리어 문자 (0) | 2008.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