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브리어 문법

[스크랩] 히브리어 문자

춘천 김상호 2008. 9. 11. 08:30

히브리어 문자

히브리어 알파벳

문자

꼬리형

 

   

이름뜻

숫자값

a

 

Aleph알렙#l,a;

 

 

황소

1

b

 

Beth베트tyBe

b, bh

,

2

g

 

Gimel기멜lm,Gi

g, gh

,

약대

3

d

 

Daleth달레ㄷtl,D;

d, dh

,

4

h

 

Heahe

h

창구멍

5

w

 

Waw와우ww;

w

갈고리

6

z

 

Zayin자인zyiz'

z

무기

7

j

 

Heth헤드tyje

h

울타리

8

f

 

Teth테드tyfe

t

9

y

 

Yod요드d/y

y

10

k

^

Kaph카프#K'

k, kh

,

구부린

20

l

 

Lamed라메ㄷdm,l;

l

소말뚝

30

m

!

Mem!yme

m

40

n

@

Nun@Wn

n

물고기

50

s

 

Samekh싸멕&m,s;

s

버팀목

60

[

 

Ayin아인@yi['

 

 

70

p

#

PeyPe  aPe

p, ph

80

x

$

Tsadhe차데ydex;

s

낚시바늘

90

q

 

Qoph코프#/q

q

바늘귀

100

r

 

Resh레쉬vyre

r

머리

200

c

 

Sin@yci

s

이빨

300

v

 

Shin@yvi

sh

 

 

t

 

Taw타우wT;

t, th

,

표식, 십자가

400

 

 

I.  

©학습목표

-자음의 종류와 특성

-자음변화와 형태론과의 관계

*반드시 알아야할 내용

· n 이중점으로 동화된다.

· b g d k p t문자는 단어의 처음과 무성셰와 뒤에서 연강점을 찍는다.

· a r [ 경강점이 찍히지 않고 모음이 보상된다.

· h j 경강점이 찍히지 않고 모음 변화가 없다.

· /=w+a (aw>au>순장o)

· W= w+u (uw>순장u)

· y e =y+a (ay>ai>순장e)

· y I = y+i (iy>순장i)

<![endif]> 


 <![endif]>

 

1.문자의 특징

1)자음중에 후음의 등급이 발달(약후음, 강후음)

2)장방형 문자

3)22자의 알파벧-자음으로만 구성

 

2.자음의 모양과 식별

1)b k n g 식별

2)d r %^$ 식별

3)h j t 식별

4)y w z ! 식별

5)s ~ 식별

6)f m 식별

7)[ c # 식별

8)k m p c 단어 끝에서 꼬리형을 가지고 있다-- $ ~ ! @ #

 

3..자음의 구분

 

 

약음

중음

강음

묵음, 마찰음

구개음

G  G

k  K

q

치음

d  D

t  T

f

순음

b  B

p  P

 

치찰음

z

s c v

x

후음

a h

 

[  j

유성음

반모음

y  w

 

 

유음

 

l  r

 

비음

 

 

m  n

 

1)b g d k p t문자(구개음, 치음, 순음의 약음과 중음) 연강점을 취하여 거센 소리(격음, 파열음) 낸다. (단어의 처음과 폐음절 다음에서 새로 시작하는 음절 처음에서 T;b)t;K;  ) B G D K P T

 

2) y  w  h 모음을 표현하는 문자로도 사용된다.

y - y I y e

w - W /

h - h ; h e h ,

 

y w는 음절 중간과 마지막에서 항상 모음이다.

h 는 마지막 음절 끝에서 가끔 사용된다.

 

 

4.자음 변화

 

1)자음 변환

(1)t→f 히트파엘에서 나타난다. qDec;t]hi   qDej;c]hi 희랍어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나타난다.  qiqemitiqemi, 치음+치음일때 처음 치음이 치찰음으로 변화 agiadhgiastai

 

(2)wy -와우 동사에서 나타난다. dl;w; dl;y;

2)자음동화- 음절을 닫고 있는(폐음절을 형성하고 있음) 어떤 자음이 다음 음절을 시작하는 다른 자음에 자신을 넘겨 주는 현상이다.- 자음이 자음과 같은 소리로 변화. 희랍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있다. 순음+mmm grafgegrammai, n+ggg  en+grafweggrafw, nlsun lalewsullalew, nrrr  sun rewsurrew, nmmm  en metero"emmetero", lvll olnuollumi

 

(1) n 동화된다.

a)접두전치사 !mi  ~V;mii

b)정관사 !h; l/Qh;

c)니팔 미완료에서 ljeQ;yi

d)- 동사에서 vG;yi

*예외가 있다.

접두 전치사 l] 뒤에서 @Gn]li

후음 뒤에서( 후음의 규칙을 참조하라)

stem 세자음 하나일 (-눈동사와 !t;n;동사는 예외)

 

(2)드물게 l 동화된다.

xq;l;동사에서 나타난다. xQ;yi

 

(3)t 치음(d f t) 결합할 rBed;t]hi rBeD;hi

 

(4)y w 치찰음이나 치음 앞에서 동화될 때가 있다. 희랍어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있다. 자음i에서 나타난다. t/q+자음i=tt melit+자음i=melitta, l+자음i=ll bal+자음i=ballw

tc;y;에서  tC;yi   

 

3)자리바꿈

(1)t s x c v (치찰음의 중음과 강음) 선행할 (히트파엘에서) rMev;t]hi rMeT;v]hi

 

(2)치찰음과 유성음이 만날 cb,K, bc,K,

 

4)탈락

(1)단어의 처음에서-약자음(a y l n) 완전 모음이 아니라 단지 셰와에 의하여 유지될 ~Wx]n;a} Wnj]n;   xq;l]  xq;   vg;n] vG;   yhin] yhi   

a 1인칭 대명사에서 나타난다.

w로 페-와우 동사에서 6개 동사가 있다.(페-와우 동사 참조)칼 미완료, 명령법, 부정사 연계형에서 나타난다.

l  xq;l;동사에서 칼 명령법과 부정사 연계형에서 나타난다.

n  페-눈 동사 중에서 미완료에서 a모음을 지닌 경우 칼 명령형과 부정사 연계형에서 나타난다.

(2)단어의 중간에서 셰와가 약자음에 선행할

a)a 경우

명사 ~Wam]→~Wm  ~mi/aT] ~mi/T

-알렙 동사 ytiax;y; ytix;y;

라메드-알렙 동사 rm;aao rm;ao  

b)라메드- 동사에서 y w-모음 인칭 어미 앞에서 WlG;   Wlg]yi

 

(3)단어의 마지막에서

라메드- 동사에서 y w 특히 와우 연속 미완료나 jussive 단축 형태에서 나타난다. lg,Yiw;   lg,yi

 

5)자음의 강화

(1)연강점 b g d k p t문자에서 격음이나 파열음으로 발음하기 위하여 찍힌다.(모음 바로 뒤에는 사용되지 않음)

a)단어의 처음에서 tyriB]

b)단어의 중간에서:모음 없는 자음 뒤의 음절 처음에(무성셰와 뒤에서) bTok]a,

 

(2)경강점-자음중첩(항상 모음 바로 다음에 사용됨)

a)동일한 자음이 사이에 모음이나 유성셰와 없이 두번 연속하여 쓰여질 (히브리어는 같은 자음을 연달아 사용할 수 없는 성격 때문이다.)

Wnn]t;n;WNt;n;  yTit]v;yTiv;

b)자음동화에 의하여(자음동화 참조)

c)동사의 강조 형태에서 rBeDi   hL;piT]

d)euphony 위하여

(a)어떤 자음 아래 있는 셰와의 발음이 들리도록 하기 위하여 yben][I ybeN][I

(b)연속되는 단어 중세 첫번째 단어가   h ; h , 끝나고 두번째는 단음절이나 단음절에 근접하는 단어일 두번째 단어의 첫글자에 경강점을 삽입하여 단어를 밀접하게 연결시키는 경우가 있다.

taoZ t;yvi[;   /mV]-hz,

 

(3)경강점의 생략-

a)w y l m n q아래에 유성셰와가 오는 경우 ~yviQ]b;m] ~yviq]b;m]

b)치찰음 아래 유성셰와가 오는 경우-이때 치찰음이 후음 앞에 있을 나타난다. WaC]yi Wac]yi

 

5.

1)후음의 종류

(1)약후음a h

a)음절의 첫머리:자음 rm;a;  %l;h;  naeme  rWhf;

b)음절의 끝에

(a) h

)말음절을 제외한 음절의 끝에 :항상 자음%P;h[n,

)말음절 끝에서 자음으로 쓰인 HWbG;

)말음절 끝에서 모음으로 쓰인 hr;P;

(b) a

)말음절이 아닌 어떤 음절의 끝에서--드물게 자음으로 쓰임 rD;a]n,   #m;a?y,

)-알렙 동사의 Qal미완료와 말음절 --항상 묵음rm;aoy음절의 원래 모음은 길어짐) ax;m; (lj;q;;형태)

)말음절이 아닌 음절 끝에서 통상--묵음 tyviare

 

(2)강후음j [

 

2)후음의 특성

 

(1)단순 유성셰와 대신에 복합 세와를 취한다.  yriP]«yria}  rboq]«rbo[}

a)가장 흔한 복합셰와는 }이다.

(a)두음자 h j [ 통상 } 취함dmo[}

(b)두음자 a > 취함 rmoa>
그러나 a 강세에서 멀어졌을 --!h,ylea> 아니라!h,ylea}

b)두개의 유성셰와는 나란히 놓일 없다.(셰와규칙 참조)
복합셰와 앞의 단순 유성 셰와는 하텝과 상응하는 완전한 단모음이 된다. lfoq]B] > lfoq]Bi  rbo[}l] > rbo[}l'

c)무성 셰와 대신에 복합 셰와를 취한다.( 후음이 말음절을 제외한 다른 음절 끝에 올 때 그 후음이 종종 조모음을 취하는 규칙이 적용되기 때문이다.)유성 셰와는 단모음과 상응하는 하텝(복합셰와)   } ' ,  > , ,  ? ; 같은 조합이 이루어진다.

ylig[r'«yri[}n'(yri[]n' 아님) yli[?P;(yli[]P; 아님) 동사 변형에서 조모음 &yria[hi > &yria'h, > &yria>h, dymi[]y' > dymi[}y' dm'[]h; > dm'[?h;

d)강후음 [ j 복합셰와를(조모음) 취하지 않는 때가 있음
/Dj]P'(/dj}P' 아님) HB;j]r;(Hb;j?r; 아님) rxo[]y'(rxo[}y' 아님)

 

(2)후음과 관계된    i  모음 변화

a)후음(후음이 단어의 끝소리가 아닐 때 ) 앞의 단모음 I   ,  dB'k]yi « lD'j]y,(lD'j]yi 아님)

b)후음 아래 단모음 i  ,  yrip]si « yriz[,(yriz][i 아님)

 

(3)후음은 a 모음들과 결합되는 경향이 있다.

a)l['Po(lq,Bo형태) r['n'(&l,m,형태) dmo[} hf;j}v; hn;a}me (단순 유성 셰와 표기될 자리에   } 각각 취하고 있다.

b)r앞에서 자주 모음 a(  ' ) 온다 rs;Y;w' rs,Y;w' rs'Y;w'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4)단어의 끝소리가 a 제외한 다른 후음일 경우--후음 앞에 항상 파타흐가 온다.

a)파타흐 이외의 단모음은 파타흐로
&l,m,«jl'm,(hl,m, 아님)

b)후음 앞의 어조 장모음은 파타흐로
rmov]yi «jl'v]yi vQeb'y]«jL'v'y]

 

(5)은입 파타흐(pathah furtive):

a)카메츠가 아닌 다른 순장 모음과 마지막 후음 사이에 발음상 단모음 a 첨가된다 &yliv[hi«j'yliv]hi , H'/bG;

b) 발음은 후음보다 먼저 난다.

c)그러나 은입 파타흐와 결합된 후음이 단어의 끝에 놓이지 않게 되면 은입 파타흐는 사라진다. j'Wr > yjiWr

d)단어의 끝머리에 있는 a 은입파타흐가 표기되지 않은다.(묵음이기 때문) aybin;

 

(6)후음과 레쉬는 겹쳐질 없다(경강점이 찍히지 않는다) ---앞모음에 영향 미침

a)어조 장모음이 된다. vQeB«vreve 이렇게 보상된 장모음(모음보상  '  ;  I  e  u  o) 변하지 않음(후음이나 레쉬가 아니었으면 원래 폐음절이기 때문)

b)a r에서는 항상 일어남@aeme h[;r;h;
[
에서는 통상 일어남 m[;h;
j h에서는 함축된다 rhem' br,j,h' vd,joh'

 

6.모음문자

1)히브리어에서 original모음은 a, i, u였다. e, o original모음의 축합(aie, auo) 의하여 나타난다.

 

2)이러한 모음을 표현하기 위하여 자음이 사용되었다.

(1) h

a)마지막 음절 끝에서만 모음으로 사용된다.

b)모음 표기(원래는 맛소라 기호 없이 사용됨 hm ma, me, mo로 발음)

(a)장모음 a h ;  

(b)단모음e h e h ,  

(c)장모음 o h  o

 

(2) y

a)음절 가운데나 끝에서 항상 모음이다.

b)모음 표기(원래는 맛소라 기호 없이 사용됨 yl li, le로 발음)

(a)장모음 i y I  

(b)장모음 e y e

 

(3) w

a)음절 가운데나 끝에서 항상 모음이다.

b)모음 표기(원래는 맛소라 기호 없이 사용됨 ysws sosi, sose, susi, suse로 발음)

(a)장모음 u W  

(b)장모음 o /

 

3)모음축합(-요드, 와우 동사에서 주로 발생한다.)

/=w+a (aw>au>순장o)

W= w+u (uw>순장u)

y e=y+a (ay>ai>순장e)

y i= y+i (iy>순장i)

 

출처 : 창골산 봉서방
글쓴이 : 봉서방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