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법

[스크랩] [성문종합영어]명사 2

춘천 김상호 2008. 6. 25. 07:53
 

   名 詞 (Noun) Ⅱ


1. 규칙변화 Ⅰ

  ①무성음 [p,t,k,f, ]       + s → [s]

    유성음 [b,d,g,v, , 모음] + s → [z]

    * desks [desks], beds [bedz].

  ②어미가 [s],[z],[ ],[t ],[d ] 로 발음이 되면 -es를 붙이고 [iz]로 발음함.

    * ass[ s] → asses [ siz]

      dish    → dishes[di iz]

      breeze [bri:z] → breezes [bri:ziz]

    ◇주의 : monarch[man k] → monarchs [man ks]

             patriarch[peitria:k] → patriarchs [peitria:ks]:가장,족장

             stomach[st m k] → stomachs[st m ks] : 위.

    ◇어미가 -ch인 단어의 복수형은 주의.

      [t ]로 발음 → -es 붙이고 [iz]

      [k ]로 발음 → -s만 붙이고 [s]로 발음.

  ③어미가 -th로 끝나는 경우

     단모음 + ths → [ s]로 발음.

     myth[mi ] → myths[mi s] : 신화.

     장모음 또는 2중모음 + ths → [ z]

     path[p : ] → paths[p  z] : 길.

     bath[ba: ] → baths[ba: z] : 목욕.

     mouth[mau ] → mouths[mau z]

     ◇mouth가 동사로 쓰일 땐 [mau ] : 먹다, 연설하다.

       bath의 동사형은 bathe[bei ] : 담그다, 목욕시키다.

       bathing suit [bei i ][su:t] : 수영복.

    ◇장모음 + r + ths에서는 ths가 [ s]로 발음.

      earth[ :  ] → earths[ :  s]

2. 규칙변화 Ⅱ (자음 + y)

   ①자음 + y는 y를 i로 고친 뒤 -es

     lady → lades[- z]

     ◇예외 : 1) 고유명사인 경우 -s만 붙인다.

                 Henry → Henrys.

              2) 모음 + y는 -s만 붙인다.

                 day → days.

              3) -quy로 끝나는 말은 모음 + y의 형태로 보고그냥 -s만 붙

                 이면 안됨.  -quy는 비록 모음(u) + y의 형태이나 발음이

                 qu[kw] 이므로 자음 + y로 보고 y를 i로 고친뒤 -es를 붙

                 임.    soliloquy[s lil kwi] : 혼잣말.→ soliloquies[s lil kwiz]

3. 규칙변화 Ⅲ (자음 + o)

  ①자음 + o는 -es를 붙인 뒤 [z]로 발음.

     potato → potatoes, hero → heroes, echo → echoes.

     ◇예외 : 자음 + o로 끝나는 단어 중에서 일반적으로 줄여서 된 말

              (automobile → auto)의 복수형은 -es 대신 -s를 붙임.

              piano(pianoforte) → pianos.

              curio(curiosity) → curious : 골동품.

4. 규칙변화 Ⅳ (f, fe 형)

  ①어미가 -f, -fe인 단어는 f를 -v로 고친 뒤 -es를 붙인다.

    half[ha: f] → halves[ha: vz]

    calf[ka:f] → calves[ka:vz] : 송아지.

    ◇다음 단어는 -f, -fe로 끝나는 경우라도 -s만 붙일 것.

    chief → chiefs,        roof   → roofs:지붕.

    cliff → cliffs:절벽,   dwarf  → dwarfs:난장이.

    safe  → safes:금고,    grief  → greifs:슬픔,비탄.

    proof → proofs:증거,   strife → strifes: 투쟁,싸움.

    gulf  → gulfs:만(해안에서 사용)

  ②문자, 숫자, 약어의 복수형은 보통 's를 붙인다.

    R → R's, 8 → 8's, M.P → M.P's

5. 불규칙 변화

 ①모음이 변하는 경우

   man - men,     woman - women[wimin], foot - feet,

   goose[gu:s] - geese[gi:s]:거위.     ox - oxen,

   tooth - teeth, louse[laus] - lice[lais]:이.

  ②단수,복수형이 같은 경우

    deer, sheep,  swine[swain]:돼지,   trout[traut]:송어,

    salmon[s m n]:연어, corps[k : ] → corps[k : z]:군단(◇발음에주의)

    ◇foot  "발"의 복수형      → feet.

            "보병"의 복수형    → foot.

      horse "말"의 복수형     → horses.

            "기마병"의 복수형 → horse.

      fish가 물고기의 종류    → fishes.

             단순하게 물고기 마리수 → fish.

6. 외래어 복수

 ① -um, -on으로 끝나는 낱말은 -a로...

   datum - data, memorandum - memoranda, medium - media:중간,매개체.

   phenomenon - phenomena:현상,사건.


 ②어미가 -us로 끝나는 단어는 -i로...

   stimulus - stimuli:자극, focus - foci:촛점. fungus - fungi:균,버섯

 ③어미가 -sis[sis]로 끝나는 낱말은 -ses[siz]로...

    oasis[oueisis] → oases[oueisi:z], thesis[ i:sis] →theses[ i:siz]

    analysis → analyses           synthesis→syntheses : 종합

    crisis → crises : 위기        basis → bases

    parenthesis[p ren isis] → parentheses[p ren isi:z]: 괄호

7. 이중 복수

  * brother [br   ]     +- brothers [br   rz] : 형제의 복수

        +- brethren[bre rin] : 동포,종교상의 형제

  * genius  [d i:ni s]+- geniuses[d i:ni siz]: 천재

        +- genii   [d i:niai] : 악마, 수호신

  * penny   [peni]      +- pennies[peniz]     : 동전 갯수의 복수

        +- pence  [pens]      : 가격, 값의 복수

  * cloth   [kl : ]     +- cloths[kl : s]     : 옷감, 천의 종류

        +- clothes[klou( )z]  : 의복, 옷

  * staff   [st f]      +- staffs[st fs]      : 직원, 간부

        +- staves[steivz]     : 지팡이, 막대기

8. 복합 명사의 복수형

 ①중요한 말이나 명사에 -s

   * looker-on  → lookers-on : 구경꾼 (spectator)

     by-stander → by-standers      passer-by → passers-by

     commander-in-chief → commanders-in-chief : 사령관

     dropper-in → droppers-in : 방문객

     father-in-law → fathers-in-law : 장인, 시아버지

     mother-in-law → mothers-in-law : 장모, 시어머니

     brother-in-law → brothers-in-law : 처남

     son-in-law → sons-in-law : 사위, 양자

     tooth-brush → tooth-brushes : 칫솔

     ♧ tooth--로 된 복합어는 뒤에 오는 명사만 복수로 고친다.

 ②명사 또는 중요한 낱말이 없는 복합어는 끝에 --s 또는 --es

   * forget-me-not → forget-me-nots, have-not → have-nots

     go-between(중매인) → go-betweens(매개자)

     merry-go-round → merry-go-rounds : 회전목마.

     good-for-nothing → good-for-nothings : 쓸모없는 자.



9. 상시복수

  ①짝 또는 두 부분이 하나를 이루는 의류 및 도구의 명칭. (보통 복수 취급)

    trousers, gloves, scissors, glasses, spectacles,

    tongs[ta z]:부젓가락, pants.

  ②복수형태의 학과명 → 형태는 복수이나 단수 취급을 함(단수동사)

    economics, politics, physics, mathematics, phonetics, ethics,

    statistics[st tistiks]: 통계학→단수취급, 통계(표)→복수취급.

  ③기타 상시복수로서 복수 취급

    goods, riches:재산, valuables:귀중품, belongings,

    savings:저금(saving은 구조, 절약의 뜻)

  ④상시복수로서 단수 취급

    news, means는 단수,복수 가능.

10. 분화복수

   * air       : 공기    -  airs      : 건방진 태도.

     advice    : 충고    - advices    : 통치.

     arm       : 팔      - arms       : 무기, 팔들.

     manner    : 방법    - manners    : 예절, 방법들.

     ash[  ]   : 재      - ashes       : 유골.

     custom    : 습관    - customs    : 관세, 세관, 습관들.

     provision : 준비    - provisions : 식량.

     pain      : 고통    - pains      : 노력, 수고.

     color     : 색      - colors     : 기, 색깔들.

11. 상호복수 : 두개 이상의 것이 상호적으로 작용해야 할 경우에는 반드시 복수형태를 해야한다.

   * shake hands with      : 악수하다.

     change cars           : 차를 갈아타다.

     exchange seats with   : 자리를 바꾸다.

     be friends with       : ~와 친구사이다.

     take turns            : ~교대하다.

     make friends with     : ~와 친구가 되다.

     exchange letters with : 편지를 교환하다.

     be on good terms with : ~와 사이가 좋다.

12. 복수어미 생략 Ⅰ

 ①복수형 명사가 수사 다음에 와서 형용사적으로 쓰일때 단수형.

    * He is two years old.

      → He has a three-year-old daughter.

  ②수사 + 복수명사가 형용사적으로 쓰일땐 단수 사용.

    * a ten-mile race : 10마일의 경주.

      a six-line gun  : 6인치의 대포.

      the three-power conference : 3대 강대국 회담.

      two-horse carriage : 쌍두마차.


13. 복수어미 생략 Ⅱ

  ① dozen, score, hundred, thousand, percent 등이 수사 다음에 올때는

     복수일지라도 반드시 단수형을 쓸 것.

    * one dozen   - three dozen.

      one hundred - five hundred.

    ◇score : "득점"의 뜻도 있지만 20의 數도 나타냄.

      two score → 40.  three score and ten → 70.

  ② dozen, score, hundred, thousand, million 등이 막연한 수를 나타낼 땐 복수형을 사용한다.

    * dozens of eggs    : 여러다스의 계란.

      Hundred of people : 수백명의 학생들.

      scores of books   : 수십권의 책.

  ③ pair, couple 등이 짝을 나타낼 때에는 단수,복수가능. (head는 항상단수)

    two pair(s) of shoes     : 구두 두켤레.

    four couple(s) of hounds : 4쌍의 사냥개.

    five head of oxen        : 소 5마리.

    ◇head는 짐승의 머리수를 셀때 쓰이며 앞에 복수 수사가 와도 항상 단수형으로 쓴다.

14. 복수형의 낱말을 단수 취급하는 경우

  ①학과명.

  ②복수형태의 국가명.

    * The Netherlands, The Philippines,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등의 국가명은 반드시 정관사 The를 사용하며 복수 취급한다.

      단, 형태는 복수이나 단수 취급하는 것은 단수 동사를 사용한다.

  ③시간, 거리, 가격, 중량을 하나의 단위로 취급할때에는 단수 취급한다.

    * Thirty miles is a good distance.

  ④복수형태의 서적이름 : 형태는 복수이나 단수 취급.

  ⑤부분을 나타내는 말.

    half(반)    ---+

    the rest(나머지)    | of + 단수명사 -+ → 단수동사.

    a lot(많은) |      물질명사 |

    most(대부분)        |      추상명사 -+

    the majority(대부분)        | of + 복수명사    → 복수동사.

    lost(많은)  ---+

15. 性

  ①별개의 낱말을 사용하는 경우

    *  husband : 남편       - wife  : 아내.

    *  nephew  : 조카       - niece[ni:s]: 조카딸.

    *  wizard  : 남자마법사 - witch : 마녀.

    *  monk    : 남자수도승 - nun   : 수녀.

    *  bull    : 황소       - cow   : 암소.

    *  bachelor[b t  l ]:독신남 - spinster : 독신녀.

  ②남성명사의 어미에 -ess를 붙임

    *  lion     : 숫사자     - lioness  : 암사자.

    *  heir[   ]: 상속인(男) - heiress  : 상속인(女).

    *  prince   : 황태자     - princess : 공주.

    *  host     : 남자주인   - hostess  : 여자주인.

    *  emperor  : 황제 - empress : 황후.

    *  tiger - tigress,     God - Goddess,        actor - actress,

    *  negro - negroes,     waiter - waitress,    author - authoress

    *  master - mistress.

  ③기타

    * he-goat : 숫염소 ≠ she-goat.      man-servant ≠ maid-servant.

      bridegroom[braidgru:m]: 신랑  ≠  bride[braid]: 신부.

      widower[widou ]: 홀아비 ≠ widow[widou]: 과부.

      hero[hi rou]: 영웅 ≠ heroine[herouin]: 여장부, 여걸.

16. 통성명사와 중성명사

  ①통성명사 : parent, monarch, spouse(배우자)

    동물을 나타내는 통성명사의 대명사는 it로 받지만 사자, 개와 같이 사

    나운 동물은 남성 취급을 하며 he로 받고, 고양이, 앵무새 등과 같이

    약한 동물은 여성 취급하여 she로  child, baby 등은 it로 받는다.

  ②중성명사(무생물)의 의인화

    * 강하고, 맹렬하고, 위대한 것. :남성명사 (sun, war...)

    * 아름답고 우아하고 가련한 것. :여성명사 (moon, peace...)

    ◇국가명은 경제․사회․문화적 측면은 여성 취급하여 she로, 국토나

      지리적 측면은 중성 취급하여 it로 받는다.

      * England is justly proud her poets. (국가, 여성)

      * America is rich in its natural resources. (국토, 중성)

17. 소유격의 형성

  ①사람이나 동물의 소유격은 원칙적으로 's를 쓴다.

    * A man's stick.  The cat's ear.

  ②무생물의 소유격은 [of + 명사]의 형태로 표시한다.

    * The legs of the table.

  ③ -s로 끝나는 복수명사의 소유격은 '(apostrophe)만 붙인다.

    * girls'.  rings.

  ④고유명사는 어미가 -s로 끝나더라도 's를 붙인다.

    * Charles's hat.  Jones's Dictionary.

    ◇예외: 고대 희랍인, 그리고 Jesus, Moses, Socrates, Columbus등의

      고유명사는 -s로 끝날지라도 's만 붙여서 소유격을 만듬.


  ⑤복합명사나 하나의 어군을 이루는 말의 소유격은 마지막에 's를 붙임.

    * father-in-law  : 장인(복합명사).    fathers-in-law : 장인들.

      father-in-law's hat  : 장인의 모자

      fathers-in-law's hat : 장인들의 모자들.

  ⑥동격명사의 소유격: 일반적으로 뒤에 있는 동격명사에 's를 붙인다.

    * my friend John's wife.

  ⑦각자소유와 공동소유

    * Tom's and Frank's books : 별개의 책.

    * Tom and Frank's books   : Tom과 Frank가 공유하는 책.

18. 소유격의 의미

  ①소유자 표시: Tom's book.

  ②저자, 발명자 표시: Shakespeare's Macbeth.

  ③사용목적․대상 표시: a girl's high school.

  ④주격 관계(행위의 주체) 표시.

    * My daughter's death: 내 딸의 죽음(= My daughter died. 주격)

    * Mother's love of children.

    * John's success.

  ⑤목적격 관계(행위를 받는 것) 표시.

    * My daughter's education: 내 딸의 교육. (목적격 관계)

                              (=Someone educates my daughter)

    * Caesar's murderers = those who murdered Caesar.

    * Shakespeare's admirers = those who admire Shakespeare.

19. 소유격의 용법

  ① 사람 또는 동물에 한해서는 원칙적으로 's를 쓴다.

  ②무생물이 의인화 된 경우.

    * Fortune's smile: 운명의 미소.

    * Nature's works : 자연의 작품.

  ③시간, 거리, 가격, 중량을 나타내는 명사.

    *  today's paper: 오늘 신문.       tomorrow's lesson: 내일 수업.

    *  a day's journey    : 일일간의 여행.

    *  five minutes's walk: 도보로 5분거리.

    *  ten miles' distance: 10마일의 거리.

    *  a pound's weight: 1파운드의 무게.     ten pound's weight.

    *  a dollar's worth of sugar.

  ④ 독립 소유격

     ㉠소유격('s) 다음에 오는 house, shop, office, store, place 등의

       공공 건물, 상점, 집 등은 생략한다.

       * My uncle's (house)

     ㉡같은 명사가 되풀이 될때 반복을 피하기 위해서 소유격 다음에 오는

       명사는 생략함.

       * This book is my brother's (book)

  ⑤ 이중소유격: a, an, this, these, that, these, some, any, no,

     which, what, such, each, every 등은 소유격과 함께 나란히 쓸 수 없

     고, 즉 a, an, this… + 명사 + of + 소유대명사의 형태로 써야한다.

     * this my father's camera.    ( X )

     * this camera of my father's. ( O )

  ⑥ 관용적 표현.

    *  for mercy's sake: 제발.  for conscience' sake: 양심상.

    *  at once wits'(wit's) end: 어찌할바를 몰라.

22. Cannot ~ without

    * I  cannot  see this picture but I am reminded of him.

         never

      = I cannot see this picture without being reminded of him.

      = Wherever  I see this picture, I am reminded of him.

         Everytime

      = This picture always puts me in mind of him.

      = This picture always reminds me of him.

23. 접두어

  ①접두어 in-, im-, -inter, intro-는 모두 안(內)의 뜻.

  ② ex-, e-, out- 는 밖의 뜻을 나타낸다.


출처 : 영어성경 영어찬양 배우기
글쓴이 : suleja 원글보기
메모 :